공사관련/공사실무

cad 명령어(2)

dalmuli 2008. 4. 22. 19:15

◈ 3. Group

1. GROUP: 도면 요소를 하나의 그룹으로 만들어 수정 및 편집을 한다.

▶ OPTION

→ 그룹이름(p): 그룹 이름과 그룹의 선택 가능 상태를 표시한다.

▸선택 가능: Select 옵션을 사용하여 그룹의 선택 여부를 표시한다.

→ 그룹 식별: 그룹 이름과 설명 등을 설정한다.

▸그룹 이름(G): 새로운 그룹 이름을 설정한다.

▸설명(D): 설정된 그룹의 설명을 작성한다.

▸이름찾기(F): 선택된 객체가 속하는 그룹의 이름을 표시한다.

▸강조: 선택된 그룹의 객체를 화면에서 표시한다.

▸미지정 포함: 이름이 지정 안된 그룹을 대화상자에 표시할지 여부를 선택한다.

→ 그룹 작성

▸신규(N): 새로운 그룹을 생성한다. 이름은 최대31RK지 가능하다.

▸선택 가능(S): Select 옵션을 사용하여 그룹의 선택 여부를 설정한다.

▸미지정(U): 새로운 그룹의 이름을 지정하지 않을 것인지를 표시한다.

→ 그룹 변경

▸제거(R): 선택된 객체를 그룹에서 분리시킨다.

▸추가(A): 선택된 객체를 그룹에서 추가한다.

▸이름 바꾸기(m): 선택된 그룹의 이름을 변경한다.

▸설명(D): 기존 그룹의 설명을 최대64wkRK지 다시 지정한다.

▸분해(E): 선택된 그룹을 삭제한다. 객체들은 도면에 그대로 남았있다.

▸선택 가능(I): 기존 그룹을 Select 명령을 사용하여 선택 여부를 변경한다.

→ 재정리(O): 선택된 그룹 내에 있는 객체들의 순서를 바꾼다. 객체들은 사용자가 선택하는 순서로 번호를 지정받는다.

▸그룹 이름(G): 재정리가 가능한 그룹의 이름을 표시한다.

▸설명(D): 설정된 그룹의 설명을 표시한다.

▸Remove from position (0-n): 위치를 변경할 객체의 번호를 설정한다.

▸Replace at position (0-n): 위치를 변경할 객체의 새로운 위치의 번호를 설정한다.

▸Number of objects (1-n): 두 번째 기준점이 될 기준 번호를 설정한다.

▸재정리(R): 변경된 재정리의 술서를 선택된 객체에 적용시킨다.

▸강조(H): 재정리된 객체의 순서별로 표시한다.

▸순서 반전(O): 재정리된 객체의 순서를 반전시킨 후 표시한다.

◈ 4. MLINE

1. MLINE: MultiLine(다중선)을 그린다.

▶ OPTION

→ 자리 맞추기(J): 다중선의 생성되는 위치를 지정한다.

▸맨위(T): 다중선의 기준점을 맨위에 설정한다.

▸0(Z): 다중선의 기준점을 중간에 설정한다.

▸맨아래(B): 다중선의 기준점을 맨아래에 설정한다.

→ 축적(S): 다중선의 축척을 설정한다.

▸다중선 축척 설정 <1.00>:

→ 유형(S): MLSTYLE에 의하여 만들어진 다중선의 유형을 설정한다.

▸다중선 유형 이름(또는?): 다중선의 이름을 입력한다.

→ 닫기(C): 처음 입력점으로 연결하면서 명령을 종료한다.

→ @: 이전에 실행했던 다중선의 마지막 점과 연결된다.

→ 명령취소(U): 입력한 정점을 취소한다.

2. MLSTYLE: 다중선의 형태를 설정/수정한다.

▶ OPTION

→ 현재(C): 현재의 다중선 형태의 이름을 표시한다.

→ 이름(N): 새로운 다중선 형태의 이름을 설정한다.

→ 설명(D): 다중선 형태의 설명을 작성한다.

→ 올리기(L): 다중선 라이브러리 파일에서 다중선 형태를 불러온다.

→ 저장(S): 다중선 형태를 저장하거나 복사한다.

→ 추가(A): 선택된 다중선 형태를 현재 사용 가능하게 한다.

→ 이름 바꾸기(R): 다중선 형태의 으름을 변경한다.

→ 요소: Mline의 간격과 색상, 선 종류를 표시한다.

→ 추가: 선택된 간격 띄우기와 색상, 선 종류를 선택된 요소에 추가한다.

→ 삭제: 선택된 선을 삭제한다.

→ 간격 띄우기: 다중선의 간격을 설정한다.

→ 색상...: 다중선의 색상을 설정한다.

→ 선 종류...: 다중선의 선 형태를 설정한다.

→ 접합 화면 표시: 다중선과 다중선 사이에 접합 라인을 추가한다.

→ 마개: 다중선의 시작과 끝점의 처리를 설정한다.

▸선: 다중선의 처음과 끝 부분을 선으로 처리한다.

▸내부호: 다중선의 내부의 처음과 끝 부분을 ARC로 처리한다.

▸외부호: 다중선의 외부의 처음과 끝 부분을 ARC로 처리한다.

▸각도: 다중선의 처음과 끝 부분을 처리할 선의 가돋를 설정한다.

→ 채우기: 다중선의 내부를 색상 처리한다.

▸켜기: 다중선의 내부를 색상 처리 여부를 on으로 설정한다.

▸색상...: 다중선 내부의 색상을 설정한다.

3. MLEDIT: MLINE을 수정(편집)한다.

→ 닫힌 십자형: 두 개의 다중선의 닫혀진 교차선을 만든다.

→ 열린 십자형: 두 개의 다중선의 열린 십자 교차선을 만든다.

→ 결합된 십자형: 두 개의 다중선의 결합된 교차선을 만든다.

→ 닫힌 T자형: 두 개의 다중선의 T 교차선을 만든다.

→ 열린 T자형: 두 개의 다중선의 열린 T 교차선을 만든다.

→ 결합된 T자형: 두 개의 다중선의 결합된 T 교차선을 만든다.

→ 모서리 결합: 두 개의 다중선의 모서리를 결합한다.

→ 정점 추가: 다중선의 정점을 추가한다.

→ 정점 삭제: 다중선의 정점을 삭제한다.

→ 단일 자르기: 다중선의 선택된 점을 자른다.

→ 전체 자르기: 다중선의 모든 선을 자른다.

→ 전체 결합: 분리된 다중선을 결합한다.

◈ 5. 문자[TEXT]

1. TEXT: 도면에 문자를 기입한다. Text 명령은 실행 상태에서는 화면에 문자를 표시하지 않는다. 문자를 기입 후 Enter를 입력하면 화면에 입력된 문자가 기입된다.

→ 정렬(A): 지정한 두 점 가이에 문자를 삽입한다. 문자의 높이는 지정한 두 점에 따라거 변한다.

→ 맞춤(F): 지정한 두 점 사이에 문자를 삽입한다. 문자의 높이는 변하지 않는다.

→ 중심(C): 지정한 점을 기준으로 문자를 수평 중심에 절려시킨다.

→ 중간(M): 지정한 점을 기준으로 문자를 중간으로 정렬시킨다.

→ 오른쪽(R): 지정한 점을 기준으로 문자를 오른쪽에 정렬 시킨다.

→ Top Left(TL): 첫 번째 점이 문자의 상단 좌측을 기준으로 정렬한다.

→ Top Center(TC): 첫 번째 점이 문자의 상단 중앙을 기준으로 정렬한다.

→ Top Right(TR): 첫 번째 점이 문자의 상단 우측을 기준으로 정렬한다.

→ Middle Left(ML): 첫 번째 점이 문자의 중앙 좌측을 기준으로 정렬한다.

→ Middle Center(MC): 첫 번째 점이 문자의 수평, 수직으로 정중앙을 기준으로 정렬한다.

→ Middle Right(MR): 척번째 점이 문자의 중앙 우측을 기준으로 정렬한다.

→ Botton Left(BR): 첫 번째 점이 문자의 중앙 우측을 기준으로 정렬한다.

→ Botton Center(BC): 첫 번째 점이 문자의 하단 중앙을 기준으로 정렬한다.

→ Botton Right(BR): 첫 번째 점이 문자의 하단 우측을 기준으로 정렬한다.

2. DTEXT: 사용자가 입력된 문자를 보면서 기입한다.

3. QTEXT: 문자를 Box 형태로 표시한다. 문자가 많을수록 처리하는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화면의 문자를 처리하는 시간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한다.

4. STYLE: 문자의 형태를 설정한다.

▶ OPTION

→ 유형이름(S): 문자의 형태를 저장할 이름을 지정한다. 또한 현재까지 입력되어 있는 문자 형태의 이름을 보여준다. 문자 형태를 기입할 문자수는 31자까지 가능하며, 문자나 숫자, 특수 문자($,_,-등)의 입력이 가능하다

▸신규(N): 새로운 문자의 형태의 이름을 지정한다.

▸이름 바꾸기(R): 기존의 문자 형태의 이름을 변경한다.

▸삭제(D): 문자 형태의 이름을 삭제한다.

→ 글꼴(FONT): 문자의 글꼴을 설정한다.

▸글꼴 이름(F): Windows 글꼴체와 AutoCAD 글꼴체 파일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글꼴 유형(y): 큰 글꼴 사용(U)을 지정하였을 때 유용하며, AutoCAD 글꼴체 파일만 사용이 가능하다.

▸높이(t): 문자의 높이를 지정한다.

→ 큰 글꼴 사용(Use Big Font): 큰 글꼴을 사용 여부를 지정한다.

→ 효과(E): 문자의 표현 형식을 설정한다.

▸위아래가 뒤집힘(e): 문자의 위, 아래를 바꾸어 표현한다.

▸거꾸로(k): 문자를 거꾸로 표현한다.

▸수직(V): 문자를 수직으로 표현한다.

▸폭 요인(W): 문자의 높이에 대한 폭의 비율을 지정한다.

▸기울기 각도(O): 문자의 기울기값을 조절한다.

→ 미리보기(P): 글꼴의 형태를 미리 보여 준다.

→ 적용(A): 글꼴의 형태를 저장하고 화면에 적용시킨다.

5. DDSTYLE: STYLE 명령과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다.

6. TEXTFILL: 도면을 축력할 때 문자의 내부에 Fill 기능을 적용시킨다.

7. MTEXT: 문서 편집기를 사용하여 다중행 문서를 기입한다.

▶ OPTION

→ 첫 번째 구석 지정: Mtext의 시작 위치를 지정한다.

→ 반대 구석 지정: Mtext의 크기 영역을 지정한다.

→ 높이(H): 문자의 높이를 설정한다.

→ 자리맞추기(J): 설정된 Mtext 영역에서 문장의 위치를 설정한다.

▸TL: 기준점 문장의 상단 좌측으로 정렬한다.

▸TC: 기준점 문장의 상단 중앙으로 정렬한다.

▸TR: 기준점 문장의 상단 우측으로 정렬한다.

▸ML: 기준점 문장의 중앙 좌측으로 정렬한다.

▸MC: 기준점 문장의 중앙, 중심으로 정렬한다.

▸MR: 기준점 문장의 중앙 우측으로 정렬한다.

▸BR: 기준점 문장의 하단 좌측으로 정렬한다.

▸BC: 기준점 문장의 하단 중앙으로 정렬한다.

▸BR: 기준점 문장의 하단 우측으로 정렬한다.

→ 회전(R): 문장의 회전 각도를 지정한다.

→ 유형(S): 문장의 글꼴 형태를 지정한다.

→ 폭(W): 문장 영역의 폭을 지정한다.

8. SPELL: 문자를 검색하여 오류(틀린단어)를 찾는다.

→ 현재 단어: 현재 검색된 단어를 표시한다.

→ 제안사항(S): 검색된 단어를 표시하고 단어의 유의어를 표시한다.

→ 무시(I):검색된 단어를 변경하지 않고 다음 검색어로 이동한다.

→ 전체 무시(q): 검색된 단어와 일치하는 단어는 모두 검색하지 않는다.

→ 변경(C): 검색된 단어를 새로운 단어로 변경한다.

→ 전체 변경(e): 검색된 단어와 일치하는 모든 단어는 전부 변경한다.

→ 추가(A): 사용자가 필요한 단어를 사용자 사전에 등록한다.

→ 조사(L): 좀더 넓은 의미로 단어들을 보여 준다.

→ 사전 변경(D): 겅색의 기준이 되는 사전을 설정한다.

→ 주 사전(M): 검색의 기준이 되는 사전을 설정한다.

→ 사용자화 사전(C): 사용자가 필요한 단어를 저장하는 사전이다.

→ 사용자화 사전 단어(W): 현재 사용하고 있는 사전의 이름을 보여 준다.

▸추가(A): 사용자 사전에 단어를 추가한다.

▸삭제(D): 선택한 단어를 삭제한다.

9. MIRRTEXT: 문자를 MIRRER하였을 경우의 문자의 방향을 설정한다.

10. MTPROP: Mtext를 사용하여 기입된 문장을 수정(변경)한다. 변경할 문자를 선택하면 Mtext 기입 환경이 표시된다.

11. DDEDIT: 기입된 문자를 수정한다. Mtext를 사용하여 기입된 문자를 Mtprop 편집 기능을 사용하고 Dtext, text를 사용하여 기입된 문장을 문자 편집을 사용하여 수정(변경)한다.

12. DDMODIFY: 기입된 문자의 특성(유형, 자리 맞추가, 문자 높이, 회전 등)을 변경한다.

13. 한글, 한자 입력하기

▣ MTEXT를 이용하여 입력하기

▸Windows에서 지원되는 글꼴을 사용한다.(굴림체, 바탕테, 궁서체, 돋움체등)

▸한글을 기입 후 키보드의 한자 버튼을 입력하면 한자를 기입할 수 있다.

▣ STYLE(Big FONT)을 이용하여 입력하기

▸AutoCAD에서 지원되는 글꼴을 사용한다.

▸한글을 기입할 때 한/영 전환 버튼을 누른 후 한글을 기입하면 된다.

◈ 6. POLYLINE

1. POLYLINE: 2차원 폴리라인을 그린다.

▶ OPYION

→ 시작점: Pline의 시작점을 지정한다.

→ 닫기(C): 시작점과 마지막 점을 연결시킨다

→ 반폭(H): POLYLINE의 반 폭(�이의 절반)을 설정한다.

→ 길이(L): 마지막 설정된 좌표 방향으로 입력된 길이만큼 Pline을 그린다.

→ 명령 취소(U): 입력된 좌표값을 마지막부터 취소한다.

→ 폭(W): POLYLINE의 폭(넓이)을 지정한다.

→ <선의 rmX점>: 다음 점을 입력한다.

→ 호(a): 호를 그린다.

▸각도(A): 호의 각을 지정한다.

▸종심(CE): 호의 중심점을 지정한다.

▸방향(D): 호의 시작 방향을 지정한다.

▸라인(L): 다시 선 형태로 돌아간다.

▸반지름(R): 호의 반지름을 지정한다.

▸두번째 점(Second pt): 호의 두 번째 점을 지정한다.

▸호의 끝점(Endpoint of arc): 호의 마지막 끝점을 지정한다.

2. PEDIT: 2차원, 3차원 PLINE 및 3DMESH 등을 편집한다.

▶ OPTION

→ 닫기(C): 열려진 PLINE을 닫는다.

→ 열기(O): 닫혀진 PLINE을 연다.

→ 결합(J): 선택된 객체를 하나의 PLINE으로 결합시킨다.

→ 폭(w): pLINE의 폭을 변경한다.

→ 맞춤(F): 선택된 Pline을 Fit 곡선으로 변견한다.

→ 스플라인(S): 선택된 Pline을 B-스플라인 곡선으로 변경한다.

→ 직선화(D): 맞춤(F),스플라인(S)의 명령으로 변경된 곡선의 부분을 직선으로 만든다.

→ 선 종류 적용(L): Pline의 모서리 부분의 선의 형태 표시를 조절한다.

→ 명령취소(U): 가장 최근의 명령을 취소한다.

→ 나가기(X): Pedit 명령을 종료한다.

→ 정점 편집(E): Pline의 각각의 정점 위치를 수정한다.

▸다음(N): 다음 정점으로 이동한다.

▸이전(P): 이전 정점으로 이동한다.

▸끊기(B): 정점과 정점 사이를 삭제한다.

▸삽입(I): 정점을 추가한다.

▸이동(M): 정점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재생성(R): PLINE의 객체를 다시 점검한다.

▸정돈(S): 선택된 두 정점 사이를 직선으로 변경한다.

▸접선(T): 맞춤, 스플라인을 사용하여 변경된 곡선의 시작 방향을 설정한다.

▸폭(W): en 정점의 처음, 마지막 폭을 수정한다.

▸나가기(X): 정점 편짐을 종료한다.

3. SPLINE: NURBS SPLINE을 생성한다. SPLINE은 NURBS 곡선을 사용하여 정점들간의 곡선들을 연산 처리한다.

▶ OPTION

→ <첫번째 점 입력>: 시작점을 지정한다. Spline은 최소한 3개 이상의 정점이 있어야 한다.

→ 객체(O): 기존의 Pline(spline-ftp)들을 NURBS Spline으로 객체를 변화 시킨다.

→ 닫기(C): Spline의 시작점과 RMxwjq을 일치시킨다. 그리고 시작점과 끝점이 정점과 접선의 벡테 데이터를 변환시킬 수 있도록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한다.

→ 맞춤공차(F): 각각의 정점을 지나가는 Spline Curve의 변환 벡터를 제어한다.

→ (Undo): 마지막에 생성된 Spline을 취소한다.

4. SPLINEDIT: Spline을 편집한다.

▶ OPTION

→ 데이터 맞춤(F): Spline의 정점을 수정한다.

▸추가(A): Spline의 정점을 추가한다.

▸닫기(C): 열린Spline의 끝점을 탄젠트 방향으로 닫아 준다.

▸열기(O): Spline을 열어 준다.

▸삭제(D): Spline의 정점을 삭제하고 나머지 정점들로 이루어진 Spline을 재정리한다.

▸이동(M): 정점을 새로운 위치로 옮긴다.

▸소거(P): Spline의 fit-data를 제거한다.

▸접선(T): Spline의 시작과 끝의 접선을 편집한다.

▸공차(L): 처름, 마지막 정점을 허용오차를 기본으로 Spline의 정점을 재정리한다.

▸나가기(X): Spline의 처음으로 돌아간다.

▸닫기(C): 접선 방향으로 정점을 닫는다.

▸열기(O): 닫혀진 Spline을 연다.

▸정점 이동(M): Spline의 정점을 이동시킨다.

▸다음(N): 다음 정점을 선택한다.

▸이전(P): 이전 정점을 선택한다.

▸점 선택(S): 새로운 정점을 선택한다.

▸나가기(X): 정점의 이동을 끝낸다.

→ 정렬(R): Spline의 정밀도를 조정한다.

▸조정점 추가(A): Spline의 위치를 조정하는 정점의 개수를 추가한다.

▸순서 높이기(E): Spline의 정점의 변환 위치 정점을 증가시킨다.

▸가중치(W): Spline의 변한 정점의 weight를 변경한다.

▸나가기(X): 정점의 정렬을 종료한다.

→ 역전(E): Spline의 정점의 순서를 변경한다.

→ 명령 취소(U): 실행한 명령을 취소시킨다.

→ 나가기(X): Spline 수정 명령을 종료한다.

5. XLINE: XLine은 화면 전체를 연결되는 무한 직선을 그린다.

▶ OPTION

→ 수평(H): 수평 방향의 무한직선을 만든다.

▸통과점: 무한직선이 통과하는 다음 점을 입력한다.

→ 수직(V): 수직 방향의 무한직선을 만든다.

▸통과점: 무한 직선이 통과하는 다음 점을 입력한다.

→ 각도(A): 기울어진 무한직선을 만든다.

▸참조(R): 참조 각도를 입력한다.

▸선 객체 선택: 기준되는 원점을 선택한다.

▸각도 입력: 각도를 입력한다.

▸통과점: 무한직선이 통과하는 다음 정을 입력한다.

→ 이등분(B): 중간 각도에 해당한 무한직선을 만든다.

▸정점 각도: 기준되는 정점을 입력한다.

▸시작점 각도: 시작되는 각도를 입력한다.

▸끝점 각도: RMx점 각도를 입력한다.

→ 간격 띄우기(O): Offset과 비슷하나 선택한 요소 대신에 무한 직선을 만든다.

▸간격 띄우기 거리 또는 통과(T) <4.6098>: Offset 거리를 입력한다.

▸선 객체 선택: Offset 요소(선)을 선택한다.

▸간격을 띄울 변?: 방향을 설정한다.

→ <시작점>: 무한직선의 시작점을 입력한다.

▸통과점: 무한직선이 통과하는 다음 점을 입력한다.

6. RAY: RAY는 기준점을 중심으로 한쪽 방향으로 무한직선이 그려지는 명령어이다

▸시작점: 시작점을 입력한다.

▸통과점: 한쪽 방향으로 무한직선이 통과하는 다른 점을 입력한다.

7. CONVERT: Polyline과 연관해치를 AutoCAD R14의 형식으로 바꾸어 준다.

▶ OPTION

→ 해치(H): 해치만 변환시킨다.

→ 폴리선(P): 폴리라인만 변환시킨다.

→ <전체(A)>: 해치와 폴리라인을 모두 변환시킨다.

8. SKETCH: 불규칙한 2차원‘도면을 그리며, 지도의 윤곽, 불규칙한 등고선과 같은 요소를 표시할 때 사용한다. 그려진 선은 기록되기 전까지는 도면에 추가되지 않는다.

▶ OPTION

→ 펜(P): Pen Up/Down: 선이 그려지는 여부를 설정한다.

→ 나가기(X): 임시 저장하고 명령을 종료한다.

→ 종료(Q): 저장하지 않고 명령을 종료한다.

→ 레코드(R): 작업된 도면을 임시 저장한다.

→ 지우기(E): 작업된 도면을 화면의 가상선을 지운다.

→ 연결(C): 마지막으로 그려진 점의 끝점에서 다시 명령을 시작한다. 마우스를 이용하여 마지막 점으로 이동 시켜 선을 연결하여 작업한다.

◈ 7. LINETYPE

1. LINETYPE: LineType(선 유형)을 설정한다.

▶ OPTION

→ 보이기(S): 선 종류를 선택적으로 표시한다.

▸전체: 모든 선 종류를 표시한다.

▸사용중인 전체: 현재 사용중인 선 종류를 표시한다.

▸미사용 전체: 현재 사용하지 않는 선 종류를 표시한다.

▸외부 참조 종속 전체: 외부 참조를 사용하여 삽입된 선 종류 전체를 표시한다.

▸외부 참조에 종속되지 않은 선: 외부 참조로 삽잊된 선 종류 제외한 선 종류를 전체를 표시한다.

→ 현재(C): 선택된 선의 종류를 현재 도면의 기본값으로 설정한다.

→ 삭제(D): 선택된 선 종류를 메모리에서 제거한다.

→ 이름(N): 선 종류의 이름을 표시한다.

→ 설명(e): 선 종류의 설명을 표시한다.

→ 상세(D): 선 종류의 상세한 내용을 표시한다.

→ 전역 축척 요인(G): 현재 화면의 선들에 대한 축척을 변경한다.

→ 현재 객체 축척(C): 현재부터 새롭게 그려지는 선에 대한 축척을 전역 축척 요인의 상대적으로 변경한다.

→ ISO 펜 폭(I): 선 종류의 축척을 ISO 표준 축척을 사용한다.

축척의 결과는 전역 축척에 객체 축척 요인을 곱한 값이 설정된다.

→ 축척을 위해 도면 공간 단위를 사용(U): 도면 공간과 부동 뷰포트에서 선종류의 축척을 적용시킨다.

→ 올리기(L): 선 종류의 유형을 불러들인다.

→ 파일(F)...: 선 종류의 유형을 선택한다. AutoCAD에서 제공되는 선 유형은 두 가지가 제공된다.

▸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 전체 선택(S) 또는 전체 비우기(C)가 된다.

2. -LINETYPE: Linetype 명령을 사용자 입력 환경에서 실행시킨다.

→ ?: 선 종류를 표시한다.

→작성(C): 새로운 선을 만든다.

▸작성할 선 종ㄹㅍ의 이름: 새로운 선 종류의 이름을 입력한다.

▸새로운 선 종류를 저장할 파일을 선택한다. 기존 파일을 사용하는 방법과 사용자가 직접 이름을 입력하여 사용하는 방벙이 있다.

▸설명 문자: 새로운 선의 설명을 입력한다.

→ Linetype 형식

▸양수: 선을 그린다.

▸음수: 간격을 삽입한다.

▸0: DOT를 그린다.

→ Complex Linetype 형식

▸양수: 선을 그린다.

▸음수: 간격을 삽입한다.

▸“GAS": 선 문자를 사용자가 입력한다.

▸STANDARD: 선 문자의 글꼴 형태를 설정한다.

▸S=0.1: 선 문자의 축척을 설정한다.

▸R=0.0: 선 문자의 회전 각도를 설정한다.

▸X=0.1: X 좌표를 설정한다.

▸Y=0.1: Y 좌표를 설정한다.

→ 올리기(L): 선 종류를 불러들인다.

→ 설정(S): 선택된 선의 종류를 현재 도면의 기본값으로 설정한다.

3. LTSCALE: LineType의 축척을 설정한다.

◈ 8. HATCH

1. HATCH: 선택된 경계 영역을 패턴으로 채운다.

▶ OPTION

→ ?: acad.pat에 저장되어 있는 해치 패턴의 모든 형태를 표시한다.

→ 솔리드(S): 해치 경계의 내부를 Solid로 채운다.

→ 사용자 정의(U): 해치의 형태를 사용자가 설정한다.

▸교차 해치선의 각도<0>: 해치의 각도를 지정한다.

▸선들 사이의 간격<1.0000>: 선의 간격 또는 축척을 입력한다.

▸이중 해치 영역? <N>: 중복 해치의 여부를 지정한다.

→ 직접 해치 옵션의 경우 리턴 키: 해치의 경계를 선택한다. 또는 Enter를 입력하여 사용자가 해치의 경계를 직접 설정한다.

2. BHATCH: 다이얼로그 박스를 이용하여 향상된 HATCH 령명을 수행한다.

▶ OPTION

→ 패턴 형태: 해치의 형태를 지정한다.

▸사전 정의(Predefined): acad.pat에 저장되어 있는 해치 패턴을 사용한다.

▸사용자 정의(UserDefined): 사용자가 해치패턴의 유형을 설정한다.

▸사용자화(Custom): 사용자가 만든 해치 패턴을 사용한다.

→ 패턴 형식(Pattern Properties)

▸ISO 펜 폭(ISO Pen Width): ISO 형식의 해치 패턴의 폭(축척)을 설정한다.

▸패턴(P): 해치 패턴의 이름을 설정한다.

▸사용자화 패턴(Custom Pattern): 해치 패턴의 이름을 설정한다.

▸축척(I): 해치의 축척을 설정한다.

▸각도(A): 해치의 각도를 설정한다.

▸간격(S): 해치의 간격을 설정한다.

▸이중(u): 해치의 형태를 수직 방향으로 설정된 하나의 해치를 추가한다.

→ 경계(Boundary)

▸점선택(Pick point): 해치의 경계 영역의 빈 공간을 선택한다.

▸객체 선택(Select object): 해치될 전체 영역 중에서 고립된 영역을 선택하여 해치 영역에서 제거한다.

▸뷰 선택(view selection): 선택된 해치의 경계를 표시한다.

→ 고급(adbanced): 해치의 고급 처리 사항을 설정한다.

→ 경계 세트 정의

▸새 경계 세트 만들기(N): 새로운 경계 영역을 선택한다.

▸화면의 모든 것으로부터(V): 화면에 보이는 모든 영역을 경계 영역으로 설정한다.

▸기존의 경계 세트로부터(x): 사용자가 선택한 새로운 경계를 사용한다.

▸고립 영역탐지(D): 고립된 영역을 검색할 것인지 여부를 설정한다.

→ 경계 유형

▸보통(Normal): 일반적인 상태로 한 칸씩 띄우고 해치를 한다.

▸외부(Outer): 가장 외부의 부분만 해치를 한다.

▸무시(Ignore): 선택된 객체를 모두 해치를 한다.

→ 경계 옵션

▸경계 유지(Retain Boundaries): 해치의 경계의 형태와 경계의 표시 여부를 설정한다.

▸폴리선: 선택된 경계를 PLINE을 사용하여 생성한다.

▸영역: 선택된 경계를 영역(Region)을 사용하여 생성한다.

→ 해치 미리보기(f): Hatch의 실행 결과를 미리 보여 준다.

→ 특성 계승(I): 기존 Hatch의 특성을 선택한 객체에 적용시킨다.

→ 속성(Attribute)

▸연관(Associate): 해치의 경계가 변경될 때 해치의 영역을 변경한다.

▸분해(Explode): 해치를 분해하여 각각의 객체로 표시한다.

3. -BHATCH: 다이얼로그 박스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BHATCH와 같다.

4. HATCHEDIT:기존의 작업된 HATCH를 편집, 수정한다.

5. BPOLY: 선택된 영역의 닫혀진 POLYLINE을 만든다.

▶ OPTION

→ 객체 형태(O): 경계를 기준으로 생성될 객체의 형태를 설정한다.

▸폴리선: 선택된 경계를 PLINE을 사용하여 생성한다.

▸영역: 선택된 경계를 영역(Region)을 사용하여 생성한다.

→ 경계 세트 정의: 경계를 선택할 도면의 영역을 설정한다.

▸화면의 모든 것으로부터(v): 현재 화면에 보이고 있는 모든 객체를 검색하여 경계를 점검한다.

▸기존 경계 세트로부터(x): 사용자가 경계를 검색할 영역을 사용한다.

▸새 경계 세트 만들기(N)<: 사용자가 경계를 검색할 영역을 사용한다.

→ 고립 영역 탐지(D): 선택된 경계의 고립 영역을 검색한다.

6. -BOUNDARY: 다이얼로그 박스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BPOLY와 같다.

'공사관련 > 공사실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사원가 산정기준  (0) 2009.06.10
cad 명령어(1)  (0) 2008.04.22
cad 명령어(3)  (0) 2008.04.22
cad 명령어(4)  (0) 2008.04.22
공사관련 대관업무  (0) 2008.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