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jungtogeo.co.kr/product/img/ntr_1.gif)
NTR(New Tubular Roof Construction)공법은 지하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하여 편리하고 신속하며, 시공이 정확하고, 안정되고 경제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공법이다. 구조물의 설치시는 물론 설치 후에도 그 구조물이 구조적으로 매우 견고하여 터널 굴착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하는 새로운 구조물 축조공법이다. 그리고, 작업상 위험성을 완전히 배제하고 안전하게 터널을 형성할 수 있으며, 완벽한 차수를 할 수 있고, 또한 적은 인력과 장비가 투입되며, 소요 자재를 재활용할 수 있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어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견고한 지하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는 신개념의 지하구조물 구축공법이다. 즉, N.T.R공법은 대구경 강관을 구조물 구축 위치에 정확히 측랑하여 강재 압입 · 굴착하고 강관 압입 매 1m마다 위치측량을 하여 선도관에 부착되어 있는 방향조정밸브를 통하여 오차를 줄이며, 강관 압입하므로 곡선, 선형 시공이 가능하다. 압입 및 굴착 공정이 완료되면 강관과 강관 사이 측면 및 하부를 절단한 후 관과 관상부에 철판으로 용접하므로 완벽한 차수가 되며, 절개한 강관측면 또는 하부에 철근이나, H-Beam을 조립 설치하고 콘크리트(몰탈)를 타설하여 강성이 극대화된 Roof 및 구조물을 구축하는 공법으로 현재 도심지의 지하상가나 지하철, 전력구, 공동구, 터널공사 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특히, 개착식(Open-Cut) 굴착방식이 아닌 지하에서 직접 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는 비개착 방식의 최신 첨단공법으로써 공사가 진행되는 동안 지상의 조건 즉, 상부의 차량통행이나 시민의 통행을 제한하거나 지상 혹은 지중의 매설된 구조물의 이설이 필요치 않고, 지상구조물이나 도로부의 침하, 지하매설물의 손상 등에 대하여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는 공법이다. 본 공법은 시공방법이 간단하고 안전하며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이며, 특히 지하 구조물 구축에 Box Type의 구조물은 물론, Tunnel Arch Type형의 구조물, 공동구, 곡선선현 시공 등에 널리 적용할 수 있는 신개념의 최첨단 공법이다. |
![](http://www.jungtogeo.co.kr/product/img/ntr_2.gif)
1. 토피가 얕은 지반조건(최소토피 1D이상)에서도 안정적으로 지하구조물 축조가 가능하여 구조물의 종단구배를 최적의 상태로 확보할 수 있어 설계목적 달성과 공사비 절감된다. 2. 지상의 교통흐름과 보행에 지장을 주지 않고 시공이 가능하다. 3. 지상의 제반 문제점(차량 및 시민의 통행제한, 지하 구조물의 이설, 도로 노면의 침하, 지중 매설물의 손상 등)에 대한 영향이 없다. 4. 공사에 따른 소음 및 진동의 발생이 없어 도심 지하구조물(터널, 지하상가 등) 구축에 적합하다. 5. 강관압입 시 선도관의 유도 조정나사와 레이저 측량기를 이용하므로 정밀시공이 가능하다. 6. 굴착을 위한 가설구조물이 본 구조물로 사용되므로 경제적이며 안전 성을 확보할 수 있는 지하 구조물 축조공법이다. 7. 타 공법에 비하여 강관 부식에 의한 유지관리 보수비가 적다. 8. 관 측면부를 절단하여 강관과 강관 사이에 철판으로 용접해 이어주므로 구조체 전체의 방수가 확실하다. 9. 수평 및 수직으로 연결된 연속 강관내에서 구조물의 슬라브 또는 라이닝이 형성되므로, 지하 구조물의 벽면이 깨끗하게 형성된다. 10. 대형강관 내에서 작업이 진행되므로, 토사 붕괴 등에 따른 작업자의 위험성이 없다. 11. 선도관 조정장치에 의해 방향이 조절되며 곡선 선형이 용이하므로 시공성이 우수하다. 12. 시공길이에 제약을 받는 견인식 공법과는 달리 발진부에서 시작된 강관은 소정의 지점까지 길이에 대한 제약을 받지 않는다.(현재 시공실적 : 400M) 13. 대형 강관 내부에서 작업하므로 내부굴착, 잔토 반출 및 공사용자재 운반이 비교적 용이하다. 14. 굴진시 자갈이나 호박돌을 만나더라도 직접적인 인력굴착에 의한 처리가 가능하다. 15. 기상조건 등 외부조건에 관계없이 시공되므로 공사 기간이 단축된다. 16. 연·경암부일 경우 다소 시간이 소요되나 조절발파 및 소할발파에 의하여 굴착이 가능하다. 17. 강관 선단부의 굴착 단면적이 일반 터널공사의 전단면보다 매우 작으므로 연약지반, 붕괴성 토질, 지하수 유입과 같은 문제성 지반에 대한 대책적용이 용이하다. 18. 강관 내 콘크리트 타설 단면이 타공법에 비하여 줄어들고, 구조물 자체 단면의 활용성이 뛰어나다. |
![](http://www.jungtogeo.co.kr/product/img/ntr_3.gif)
- 터널배면의 차수 -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에 대한 보수 보강 - 구조물 접합부의 누수차단 - 댐 및 제방 기초지반의 커튼그라우팅 ![]() |
![](http://www.jungtogeo.co.kr/product/img/ntr_4.gif)
![]() |
![]() |